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FiniteStateMachine
- 소신호해석
- 회로설계취준
- DRAM동작원리
- combinational
- 아날로그회로설계
- levelshifter
- cmosinverter
- 디램동작원리
- 삼성전자대학생인턴
- nonblocking
- 디지털집적회로
- 삼성전자인턴합격
- 소신호
- 전자회로
- 회로설계
- 차동구조
- DRAM의동작특성
- currentmirror
- 비휘발성메모리
- shortcircuitctransconductance
- 따따상
- 반도체
- 삼성전자DS
- DRAM
- Flash메모리
- 메모리반도체
- 삼성전자인턴
- voltagedoubler
- 따상
- Today
- Total
루피덕후의 블로그
[전자회로] BJT와 MOSFET 비교 (동작특성/활동영역) 본문
*bjt와 mosfet 비교
*mosfet : gate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서 가해지는 전계의 크기로 전류를 제어하는 소자
(+ 전자, 정공 중 한 가지만 전류에 기여하므로 단극성 소자)
* bjt : pn접합에 기반하여 각 접합에 bias 조건을 달리함에 따라 이동하는 carrier로 전류를 제어하는 소자
(표로 비교하는 BJT와 MOSFET)

*BJT와 MOSEFT의 공통점과 차이점 : 활동영역의 조건
bjt나 mos나 전류가 일정한 영역에서 analog 회로의 증폭기로 쓰인다는 점은 동일
다만 bjt에서는 satuation영역이 npn 기준 Vcb>0(forward bias)일 때임

* based width modulation in bjt
: base에서 벌어지는 현상(mosfet에서 channel length modulation과 유사)
bias에의해 유입되는 정공이 emitter로 흘러감
-> base에서 유입되는 정공과 emitter에서 유입되는 전자가 만나 재결합
(not desired, Ic흐름에 방해)
따라서 Wb의 폭을 줄이게되면 active region에서 전류가 일정하지않고 증가함
이 때 Wb는 Vce에 대한 함수이므로 전류 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

*이 modulation 현상에서 mosfet이 bjt과 다른점은
Tr의 size, aspect ratio(=W/L)값을 design가 직접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

*transconductance 높으면 증폭도가 높음(적은 voltage로 많은 current 흘림)
bjt의 gm이 mosfet의 gm보다 우수함에도, 현업에서는 mosfet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 :
mosfet이 bjt보다 온도에 덜 민감/mosfet의 동작특성이 더 간단함/제조공정이 bjt보다 더 간단함



*bjt의 전류흐름 : diffusion current
*mosfet의 전류흐름 : voltage를 가해 걸린 전계에 의한 전류(drift current)
'반도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전자회로] mosfet I-V curve/channel length modulation/short channel effect (0) | 2023.04.14 |
---|---|
[전자회로] short circuit transconductance (0) | 2023.04.14 |
[전자회로] MOSFET 증폭기 설계 (0) | 2023.04.13 |
[디지털 집적회로] CMOS inverter의 동작특성 (0) | 2023.04.13 |
[22(상)] 삼성전자 DS 대학생 인턴 면접 합격 후기 (3) | 2023.04.10 |